본문 바로가기

인덱싱2

파이썬 컬렉션 (튜플) 1. 튜플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경 불가능(immutable)한 순서가 있는 컬렉션입니다. 튜플은 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하고, 항목들은 쉼표 ,로 구분됩니다. tu1 = (1,) # 요소를 1개만 저장할 때 ,를 꼭 뒤에 써주어야 튜플 형식으로 저장된다. tu2 = (1, 3, 5, 7) tu3 = 1, 3, 5, 7 # 소괄호를 치지 않아도 여러 항목을 저장하면 기본적으로 튜플의 형태로 저장이 된다. print(type(tu3)) >> (1) 인덱싱 튜플의 각 항목은 순서(인덱스)를 가지고 있으며,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tu4 = ('apple', 'banana', ('🍉','🍓')) print(tu4[0]) >> apple.. 2023. 9. 5.
문자열 1. 문자열 다루기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문자열은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 세 개의 따옴표(''', """)로 둘러싸인 텍스트로 표현됩니다. ***따옴표 세 개는 문자열을 입력한 형태 그대로 반환 파이썬의 문자열은 유니코드(Unicode) 문자의 시퀀스로 구성되며, 문자열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해당 값은 불변(immutable)한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같은 변수에 문자열을 재할당하는 경우, 새로운 문자열 객체가 생성되고 변수는 새로운 문자열 객체를 참조하게 됩니다. 이전 문자열 객체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변경이 아닌 새로운 생성&삭제) 또한 파이썬은 '공유 문자열'이라는 메모리 최적화 기술을 활용합니다. 동일한 문자열 값이 .. 2023.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