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int 함수
print() 함수는 파이썬의 기본 출력 함수로, 터미널이나 콘솔 창에 텍스트나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print( 값1, 값2, sep = '구분자', end = '끝 문자')
-값: 출력하고 싶은 값을 나타냅니다. 쉼표로 구분하여 여러개 나열할 수 있습니다.
-sep : 값들 사이에 들어갈 구분자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공백(' ')입니다.
-end : 모든 값들이 출력된 후 마지막에 출력될 문자를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줄바꿈('\n')입니다.
*** \n 은 파이썬의 escape 문자 입니다.
이스케이프 문자는 백슬래시(\)로 시작하며, 문자열 내에서 특정한 동작이나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특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 \n: 줄바꿈을 나타냅니다.
2. \t: 탭 문자를 나타냅니다.
3. \\: 백슬래시 자체를 나타냅니다.
4. \" 또는 \':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를 나타냅니다.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출력 서식 지정
파이썬의 print() 함수는 출력 서식을 지정하여 값을 형식화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서식 지정자와 함께 사용되는 % 연산자와 format() 메서드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1. % 연산자를 사용하여 출력 서식을 지정
%s: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print('문자열: %s' %'Python')
%d: 정수를 출력합니다. print('정수: %d' %100)
%.nf: 소수점 이하 n자리까지 출력합니다. print('실수: %.3f' %100.123456)
파이썬 3.6부터는 f-string이라는 더 간편한 포맷팅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print(f'정수: {100}') 가능하면 편리한 f-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format() 메서드를 사용하여 출력 서식을 지정
{}: 중괄호 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넣어 값을 출력합니다.
print('내친구: {}, {}'.format('오렌지', '반하나'))
반드시 문자열 '' 과 함께 쓰여져야 하며 '{}'.format 형태로 한번에 외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 주석문이란?
파이썬 주석은 코드 내에 프로그래머가 설명이나 메모를 작성한 것입니다. 주석은 코드를 이해하고 다른 개발자와 협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코드의 기능과 목적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주석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무시되므로 코드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한 줄 주석 : # 기호를 사용하여 주석을 시작하고 그 줄 끝까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여러 줄 주석 : 큰따옴표 세 개(""") 또는 작은따옴표 세 개(''') 사이에 작성하면 여러 줄에 걸쳐 주석 처리가 됩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컬렉션 (튜플) (0) | 2023.09.05 |
---|---|
파이썬 컬렉션 타입[리스트] (0) | 2023.09.04 |
문자열 (0) | 2023.09.01 |
파이썬 변수 (0) | 2023.09.01 |
파이썬 설치와 구글 코랩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