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코딩 테스트 공부

과일 장수

by 코낄2 2024. 4. 4.

[프로그래머스 lv1]

문제.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k ≤ 9
✔ 3 ≤ m ≤ 10
✔ 7 ≤ score의 길이 ≤ 1,000,000
✔ 1 ≤ score[i] ≤ k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우선 최대 점수를 위해서는 높은 점수의 사과끼리 최대 몇상자를 만들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생각했다.
높은 점수 순서대로 몇개인지 세면서 새로운 dictionary를 생성하고,
한 상자에 들어가는 과일 갯수 m을 이용하여 몇 상자를 만들 수 있는지 확인 후,
m개를 넘지 않으면 다음 높은 점수의 사과 갯수에 합해서 다음 높은 점수로 만들 수 있는 사과 상자 갯수는 몇개인지 확인 하는 방식을 만들었다.
def solution(k, m, score):
    dict = {}
    last = 0
    answer = 0
    for i in range(k):
        dict[k-i] = score.count(k-i)+last
        count = dict[k-i]//m
        last = dict[k-i]%m
        answer += (k-i) * m * count
    
    return answer

 

'파이썬 > 코딩 테스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 놀기의 달인  (0) 2024.04.27
백준 17298  (0) 2023.11.03
스택과 큐 /백준 1874  (1) 2023.11.02
백준 12891, 11003  (0) 2023.10.26
백준 2018, 1940, 1253  (1) 2023.10.24